한경DB
한경DB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사의 지난 1분기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이 모두 30%를 상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터넷은행 3사 모두 정부가 제시한 목표치인 30%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제4 인터넷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사업자들이 모두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포용금융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에서 앞선 3개 인터넷은행들이 보란듯 포용금융 역할을 강화한 모습이다.

24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인터넷은행 3사의 지난 1분기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은 카카오뱅크가 31.5%, 케이뱅크는 33.2%, 토스뱅크는 36.3%로 집계됐다. 인터넷은행에 대한 정부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 규제가 처음 생긴 2021년 5월 이후 3개 인터넷은행이 모두 30% 이상의 비중을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은행연합회 제공
은행연합회 제공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잔액이 가장 많은 곳은 카카오뱅크로 조사됐다.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평균 잔액은 지난 1분기 기준 4조6200억원으로 집계됐다. 역대 최대 규모이자 전년 동기(3조6000억원) 대비 278.3%(1조200억원) 증가한 수치다.

2021년 10월 출범한 '3호'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의 지난 1분기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평균 잔액은 4조1900억원으로 집계됐다. 토스뱅크는 "인터넷은행 3사 중에 가장 늦게 출범한 신생 은행이지만 자체적인 신용평가모형인 'TSS'의 고도화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며 상환 능력이 있는데도 기존 제도권 은행에서 대출을 충분히 받지 못한 건전한 중·저신용자 발굴에 적극 나선 결과"라고 설명했다.

케이뱅크는 지난 1분기 중·저신용자에 대한 신용대출의 평균 잔액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공급액이 지난 1분기 3000억원 이뤄졌고, 2017년 4월 출범 이후 올해 1분기까지의 공급액은 누적 6조3000억원이라고 밝혔다. 2017년 7월 출범한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의 누적 공급액은 11조3000억원이다.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은 정부가 요구한 '분기 평균 잔액' 기준 30%를 모두 상회한다. 정부는 작년까지만 해도 연말 기준으로 개인 신용대출 중에서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30% 이상으로 요구했는데, 올해부터는 비중 집계 기준을 '분기 평균 잔액'으로 바꿨다.
은행연합회 제공
은행연합회 제공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이 작년 말보다 모두 높아져 정부가 요구한 30%를 상회하면서 금융권의 관심은 '제4호' 인터넷은행의 출범 여부에 집중되고 있다. 현재 제4 인터넷은행을 설립하겠다는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힌 곳은 KCD뱅크, U뱅크, 더존뱅크, 소소뱅크 등 4개 컨소시엄이다. 이들은 모두 소상공인 대상 포용금융에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인터넷은행 3사의 포용금융 성과가 확대되면 정부가 제4 인터넷은행 설립 인가를 굳이 포용금융만을 이유로 새로 내줄 명분이 약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