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인터넷 쇼핑몰 스타일난다를 로레알에 6000억원에 매각한 김소희 전 대표, 공차코리아를 유니슨캐피탈에 340억원에 매각한 김여진 전 대표, 새벽 배송 업체 마켓컬리를 창업한 김슬아 대표 등은 모두 30대에 수백억~수천억원대 자산가 반열에 오른 창업자로 유명하다. 올해 서른다섯인 김병훈 에이피알 대표는 올초 상장에 성공해 주식 평가가치가 1조원대에 달하는 거부가 됐다.

2030세대 스타트업 창업자를 중심으로 ‘영리치’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유튜버, SNS 인플루언서, 가상자산으로 벼락부자가 된 MZ세대(밀레니얼+Z세대) ‘뉴리치’도 자산관리(WM) 시장의 신흥 세력으로 떠올랐다.

청년 부자, 해외 비상장 종목도 산다

직접 사모펀드 꾸리는 영리치들…韓 넘어 해외 비상장주식 베팅
7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등에 따르면 현재 금융자산이 10억원 이상인 고액 자산가는 50만 명에 달한다. 이 중 20·30대는 약 10%인 4만9000명 안팎으로 추산된다. 40대까지 포함하면 14만 명에 이른다.

증권업계에서는 영리치만의 투자 방식 특징으로 ‘공격적인 투자 포트폴리오’를 꼽는다. 영리치는 부동산과 채권 등에 장기 투자하기보다 주식과 주식연계채권 등 단기에 수익을 올릴 수 있고 환금성이 높은 상품을 선호한다. 비상장 주식 투자에도 적극적이다. 해외 데이터센터나 인프라, 대체투자상품 등에 투자하기 위해 직접 조합과 사모펀드(PEF)를 결성하는 사례 역시 늘었다.

자기 주도적 성향이 강해 프라이빗뱅커(PB)가 추천하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따르기보다 자신이 투자하려는 분야를 명확히 정해 PB와 협의하는 일이 많다. 투자 상품을 정하면 대면 접촉 없이 유선으로 수십억원어치 채권을 주문하거나 동네 마실 나오듯 슬리퍼에 편한 옷차림으로 증권사 WM센터를 찾아 수억원의 상품을 계약한다. 강남지역의 한 증권사 PB는 “영리치는 투자 수익률이 다소 낮더라도 자신이 어느 정도 아는 분야를 선호한다”고 말했다. 가상자산에 대해서도 어느 세대보다 개방적이고 관심이 높다. 하나금융연구소가 2022년 영리치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이들 가운데 21%는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에 투자한 경험이 있었다.

‘미래 CEO 잡아라’

‘자수성가형 영리치’뿐 아니라 ‘금수저형 영리치’를 잡기 위한 증권회사들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증권사가 주최하는 고액 자산가 2·3세를 위한 소모임도 활발하다. 고액 자산가 자녀의 WM뿐만 아니라 기업공개(IPO), 회사채 발행 등 기업금융(IB) 분야의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일부 증권사 PB는 자산가 자녀를 대상으로 명상 등 경영자에게 필요한 자질을 기를 수 있는 맞춤형 세미나를 연다. 해외 부동산 매매와 관련한 자문 사례도 늘고 있다. 기성세대 자산가들의 자녀가 대부분 미국 등 해외에 거주하고 있어 해외 부동산을 증여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금수저형 영리치를 대상으로 한 상속·증여 관련 절세 상담도 PB들이 심혈을 기울이는 분야다. 한 증권사 PB는 “최근 절세 목적으로 법인을 설립하겠다는 30·40대 고객이 많아졌다”며 “법인은 부동산으로 임대 수익을 얻고 자녀는 배당을 받는 방식이 인기를 얻고 있다”고 귀띔했다.

류은혁/전예진/배태웅 기자 ehryu@hankyung.com